안녕하세요 린다입니다. 저번 GCD 정리에 이어서.. GCD 사용시 주의해야할 사항을 정리해보았어요. 본 정리는 앨런님의 강의를 수강하면서 이해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https://sy-catbutler.tistory.com/31) 밑에서부터 편한 말투로 써볼게요! DispatchQueue 사용시 주의해야할 사항 1) 반드시 메인큐에서 처리해야하는 작업 → UI 관련된 일들은 “메인큐”에서 처리해야 한다!! 즉, 화면을 담당하는 업무는 하나의 쓰레드에서만 작업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메인쓰레드(1번 쓰레드)에서 Queue로 Task을 보냄 → Queue에서 2번쓰레드로 Task 보냄 → 근데 Task에 UI 관련 동작이 있음 → 이 부분은 다시 메인쓰레드로 보내서, 메인 쓰레드에서 동작해야함 ..
안녕하세요 린다입니다. 요즘 멋사 끝나고 헷갈리는 문법부터 보고 있는데요. 이번달 목표는 GCD를 마스터라서.. GCD를 정리해보았어요. 밑에서부터 말..편하게 해서.. 제가 이해한 바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본 정리는 앨런님의 강의를 수강하면서 이해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먼저.. 우리가 DispatchQueue에 대한 궁금증과 어려움이 생겼다면, 동시성에 대한 의문이 분명히 있으실텐데요... 이 동시성이 무엇인지부터 시작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동시성이 무엇이며, 도대체 왜 Concurrency 이 필요한가? 우리 컴퓨터의 발전에 따라서… 작업이 고도화 되고 처리할 양이 많아짐 == 일해야 하는 놈이 증가함 그래서 하나의 쓰레드가 아니라 다른 쓰레드로 일을 분산시켜서 작업을 빠르게 처리해보자에서 ..
이전 글에 이어서 구현을 해봅시다. 먼저 구현을 어떻게 했냐면.. 그냥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거 사용해서 했어요. 첫 화면이구요. 여기서 첫번째 버튼을 눌러 들어가는 페이지에서 자신의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회원가입(및 로그인)을 하는 시나리오로 구현을 해보았습니다. (매우 허접슨) 로그아웃은 이렇게 구성해놓았어요. 로그인 하면 이렇게 환영합니다. (이메일)님 안녕하세요! 라고 출력되게 해놓았고. 로그아웃 버튼을 누르면 냅다 그냥 첫화면으로 돌아갑니다. 우리가 먼저 파베를 사용하여 이런 회원가입/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파베의 Auth에 와서 방법에 이메일/비밀번호와 Google을 설정해주어야 해요. 제공업체는 다양하기 때문에 원하시는 방법이 있다면 추가하셔요! 그래서 저렇게 이메일과 구글을 ..
꽤나 바빠서.. 정말정말정말 오랜만이 되어버린 블로그.. 요즘 수업에서는 Firebase를 배우고 사용해보고 있어요. 그래서 UIKit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리해볼려고 합니다!! .. 근데 애널리틱스 사용 설정은 안 한 버전입니다. 사용 설정해보고는 .. 아직 안 해봤어요 .. 먼저 파베에 프로젝트를 등록해야합니다. 프로젝트 추가를 눌러서 이름을 지정하여 시작하여 주세요! 그런 다음 프로젝트 시작! 여기서 iOS를 눌러주세용 그럼 이제 이런 화면이 뜹니다. 번들은 xcode 내에서 앱 닉네임, App Store ID는 선택사항이라서 저는 넣어주지 않고 넘어갔어요. 다음은 plist라는 구성파일을 추가하라고 나옵니다. 이거를 다운 받아서 자신의 프로젝트에 추가해주시면 돼요. 여기서 주의..? 할 점은 ..
동기 비동기에 많이 나오는 에러 핸들링! 처음 봤을 때 멘붕 왔던 에러 핸들링..! 말이 너무 비슷비슷해서 헷갈리는 에러 핸들링에 대한 정리를 블로그에도 올려봅니다.. 에러 핸들링은 말 그대로 에러를 다루는 거겠죠? Error Handling 에러 핸들링(처리)의 순서가 있어요! 제가 보기에는.. 내가 만든 함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 형식 선언 (enum을 통해서 정의) 에러 정의(선언한 에러가 어떤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인지 정의) 에러 발생시 어떻게 할 것인지 정의 그러면 정말로.. 이게 뭔데? 싶으니까 에러를 던지고 받고를 해봅시다. 그럼 어떻게 던지는데? 넹.. throw(s)를 통해서 던집니다. Error Throw(s) throw : 에러를 던지는 키워드(에러가 발생했을 때만 호출됨!!..
SwiftUI는 데이터 주도 방식으로 개발하고 게시자/구독자를 구축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죵 4가지의 객체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모양과 동작을 결정하는 상태를 제공하는데 여개서 4가지가 @State, @Binding, @environmnet, @Observable 이렇게 있습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묵혀놓았던 @State, @Binding에 대해 빠르고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Obersvable이랑 @Environmnet는 다음 게시물로... !! 1. @state ( = 상태 프로퍼티) 값의 변화를 감지해서 값이 변하면 뷰를 다시 그려주는 프로터티 입니당(뷰에 적용시켜줌) 상태프로퍼티는 상태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며, 현태 뷰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서만 사용해요! 토글 버튼 활성화 유무 텍스트 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