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록

안녕하세요. 린다입니다.오늘은 Tuist와 Swift를 함께 사용할 때 어떻게 Typography를 구현하면 좋은지... 에 대해서 글을 작성해보려고 해요. 사실 저번에도 Tuist에서 custom font 사용하기에 대한 주제로 글을 올린적이 있는데요.단순하게 enum으로 폰트를 정의하고 Extension View로 빼서 사용하면적용은 잘 되지만, 핸드폰 시스템의 텍스트 크기 변경에 따라서 앱 내부 폰트 사이즈도 변경되더라구요.그래서, 이번에는 어떻게 Typography를 구현하면 좋은지를 주제로 더 정확하게 작성하기로 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Tuist + Custom Font 하면 해당 모듈에 이런 FontFamily가 생성되요.  그리고 다른 모듈에서 해당 Fon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pp..
안녕하세요. 린다입니다.두 개의 프로젝트에서 Carousel 뷰를 모두 사용 중인데요. 17부터는 다양한 modifier가 있는 carousel 을 사용할 수 있지만..최소 지원버전이 모두 16이기 때문에 커스텀으로 진행했어요. 프로퍼티 설명edgeSpacing: 두번째 카드부터 보이는 양옆에 나와있는 카드들의 크기contentSpacing: 카드와 카드 사이의 spacingtotalSpacing: carousel뷰가 들어가는 mainView에서의 전체 paddingcontentHeight: carousel뷰 heightcarouselContent: carousel를 구성할 View (@escaping == 밖에서 정의해서 사용) totalSpacing의 마지막 padding은 필요에 따라 빼고 사용하셔..
· 알고리즘
백준 1167 - Swifthttps://www.acmicpc.net/problem/1167  해당 문제는 일정의 공식?을 알고 있어야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에요. 바로 "임의의 노드에서 가장 긴 경로로 연결된 노드는 트리의 지름에 해당 하는 두 노드 중 하나다."입니다. 즉, 그래프의 아무 노드에서 BFS를 돌렸을 때 나오는 노드가 트리의 지름에 해당하는 두 노드 중 하나이라는 말이에요.그렇기 때문에 아무 노드로 BFS를 돌려서 구한 노드의 정렬의 max값으로다시 BFS(max)를 돌리면 지름에 해당하는 두 노드 모두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문제는 가중치를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저는 각 노드들이해당 노드까지 가중치를 얼마나 쌓아왔는지를 포함하면서 구현하기 위해서 튜플을 사용했어요!  impo..
· 알고리즘
백준 1929 - Swift https://www.acmicpc.net/problem/1929 이전 DFS에서 소수 찾는 함수에서 생각나서문제 풀러 갔는데 이미 자바로 풀어져 있더라구요.그래서 이번에 Swift로 갱신 +  에라토스테네의 체 원리 해서 다시 풀었습니다! 에라토스테네의 체 원리?구하고자 하는 소수의 범위만큼 배열을 생성한 다음 2부터 현재 선택된 숫자의 배수에 해당하는수를 배열에서 모두 제거하면서 찾는 방법O(nlog(nlogn))으로 시간 복잡도가 굉장히 낮은 편!  코드let input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 Int($0)! }let m = input[0]let n = input[1]var array = Array(repeating: ..
· 알고리즘
백준 2023 - Swifthttps://www.acmicpc.net/problem/2023   해당 문제느 입력의 max가 8인 것을 보아 어떤 알고리즘을사용하여도 원만하게 풀 수 있는 문제임을 보여주고 있긴 한데요.저는 DFS,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풀이 했어요. 먼저 소수를 정의 해 보자면,소수 : 1과 자기 자신 이오의 약수가 없는 1보다 큰 자연수그렇기 때문에 일단 1의 자리에서 소수는 2, 3, 5, 7이 되는 것이고해당 숫자에서 홀수 (짝수가 되는 순간 != 소수)를 이어 붙여가면서변화하는 숫자가 소수인지 아닌지 파고 들어가면서 확인해주면 되기 때문에계속 파고 들어가는 건 DFS 니, DFS를 활용하였습니다.  소수 판별먼저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고func isPrime(..
· 알고리즘
백준 1260 - Swifthttps://www.acmicpc.net/problem/1260  DFS, BFS의 기본 문제로 개념을 알고있다면 쉽게 구현이 가능한 문제입니다!  그런 기념으로 간단하게 정리해보는 DFS, BFS 1) DFS - Depth First Search (깊이우선탐색)완전 탐색 기법 중 하나로써그래프의 시작노드부터 한쪽 분기의 최대 깊이까지 탐색 후 다른쪽 분기로 이동하여 모두 탐색을 완료하는 기법노드의 개수를 V, 에지의 개수를 E라고 했을 때, 시간 복잡도는 O(V+E)재귀 함수, 스택으로 구현함스택으로 구현하는 이유는, "그래프의 시작노드부터 한쪽 분기의 최대 깊이까지 탐색 후"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임깊이로 탐색하는 것을 이미지로 그려보면 마지막까지 들어갔다가 그 위부터 po..
서연(linda)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